電力 질주가 필요하다 서울경제 기고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이중 고기압, 한국형 스콜, 수증기 온실 ...’ 이례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무더위가 밤낮으로 이어지고 소나기가 갑자기 쏟아지고 나면, 거리는 습식 사우나를 방불케 한다. 온열질환자가 하루당 1백명선을 훌쩍 넘고, 돼지, 가금류 등 가축도 올 여름 35만마리가 폐사했단다. 흙과 땀으로 얼룩진 작업복을 싸맨 건설노동자, 폐사한 어류에 망연자실한 양식장, 쪽방촌 이웃들 등 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현장이 늘고만 있다.
냉방 수요로 전력 사용도 크게 늘었다. 정부는 이번주 전력 수요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지난 5일 전력수요는 93.8GW(기가와트)까지 치솟았다. 4년전 여름철 최대수요(89.1GW)에 비해 4.7GW가 늘었다. 신형 원전(1.4GW급) 3기가 넘는 수요가 는 셈이다. 공급 능력면에서 충분히 대비해놨다지만 폭염과 태풍이 이어질 것이 예상되면서 긴장을 늦출 수가 없는 상황이다. 2011년 9월 블랙아웃을 막기위해 실시했던 ‘순환 정전’당시 도로는 아수라장, 공장은 멈춤, 엘리베이터도 금융거래도 마비였다. 피해 신고만 9천건이었다.
꼭 폭염만이 아니다. AI가 이끄는 미래를 선점하기 위해서도 전력수요 급증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이는 손으로 눈으로 느낄 수 있다. 우리가 인터넷 검색 때 쓰는 전력이 0.3Wh(와트시)인데 생성형 AI 검색은 10배의 전력(2.9Wh)이 필요하다. 챗GPT 메시지나 그림을 기다리면서 2~3초간의 버퍼링 경험이 누구나 있을 듯하다. 국제에너지기구는 2050년 전력수요가 지금보다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고 특히 AI혁명에 따른 전력수요만 해도 2026년까지 2배로 점치고 있다.
탄소중립시대를 준비하는 지구촌 국가들과 기업들은 ‘청정에너지 확보경쟁전’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IRA법에 따른 총투자액의 80%를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투여하고, EU는 재생에너지, 수소에 투자중이며 중국은 청정에너지와 전기차, 태양광모듈 제조 1위국에 올랐다. AI 기업의 선두권 MS, 오픈AI, 아마존 등 전 세계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전원 확보에 노력중이다. 바야흐로 전기를 확보한 국가, 기업이 살아남는다는 전자(電者)생존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오고 있다.
우리의 전력 공급능력은 충분할까? 해안가에 발전소를 짓는다 하더라도 계통부터 쉽지 않다. 전력 송배전망 건설이 민원에 막혀 차질을 빚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믹스도 논란이다. 전체 에너지의 94%를 수입해야 하는 한국에서 재생에너지냐 원전이냐 이분법적 논쟁과 대립이 확산돼 건설적인 논의는 잘 안되고 있어 안타깝다. 마냥 좋거나 나쁜 에너지원은 없다. 에너지원마다 환경성, 경제성, 유연성, 안전성, 사회적 수용성면에서 일장일단이 있다. 미래 에너지원 확보, 인프라 구축 등 과제가 산적한데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지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
국회의 역할도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전력망확충특별법, 해상풍력특별법 등 에너지전환 관련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하고, 원전, 수소 등 활용가능한 모든 무탄소에너지에 대한 폭넓은 정부지원을 뒷받침해야 한다. 우리 기업들이 에너지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도 필요하다.
1887년 경복궁 연못에 첫 전기가 들어온 날, 사람들은 너무 놀라 도깨비불이라 했다. 이후 국가 경제발전과 같이 하면서 “한강의 기적”의 밑거름이 됐다. 지구온난화 시대, AI 혁명 시대에도 한국기업들이 전력(全力) 질주할 수 있도록, 전력(電力)도 질주했으면 한다
|